반응형 전체 글47 공매도 금지의 역사와 2024년 공매도 제도 개선 오늘은 새로워질 공매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매도란 특정 종목의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투자 전략입니다. 공매도 장점 시장 유동성 확보 주가 버블 방지 위험관리 수단(하락장에서 수익창출 가능) 공매도 단점 주식시장 투자심리 위축 잘못된 정보 및 불공정한 정보 유포 개인/기관 간의 제도적 차이(기울엊니 운동장) 불법 무차입 공매도 가능 한국 공매도 금지의 역사 1) 글로벌 금융위기 2008.10~2009.5월 (8개월)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촉발한 글로벌 금융위기로 국내 증시가 일괄 하락하였습니다. 하락세 최소화를 위해 공매도 금지를 결정하였습니다. 2) 유럽 재정위기 2011.8~2011.11월(3개월) 그리스 구제금융 .. 2024. 1. 20. 반도체 미세공정의 한계 원인 비용증가 누설전류 얼마 전까지만 해도 반도체의 최대 이슈는 어떤 회사가 좀 더 미세한 공정으로 정교하게 반도체를 만드느냐였습니다. 물론 미세공정 이슈는 지금도 뜨거운 감자 중에 하나입니다. TSMC, 삼성전자 그리고 인텔 간의 초미세공정 경쟁은 3나노를 지나서 이제 2나노에 누가 더 먼저 도달할 것인가를 치열한 경쟁을 이어나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미세공정이 고도화되면서 제기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오늘은 반도체 미세공정의 한계 원인인 비용증가와 누설전류 증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도체 미세공정의 한계 원인 (1) 기하급수적인 비용 증가 최상위 노드의 개발 비용과 설계비용 그리고 제조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늘어나는 비용에 비해서 기대되는 성능 향상의 폭은 그렇게 높지가 않기 때문에.. 2024. 1. 7. HBM 시장 전망과 HBM 수혜주 챗GPT를 시작으로 많은 빅테크 기업들이 AI 서버에 투자를 하기 시작했고, 또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고속처리에 특화된 GPU 사용 성능을 끌어올리게 만들어주는 HBM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했습니다. 오늘은 HBM 시장 전망과 HBM 수혜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BM 시장 전망 현재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HBM 시장 점유율은 40%, SK하이닉스는 50%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가장 최신 버전인 HBM3의 공급량만 보면 SK하이닉스의 점유율이 95%에 달합니다. HBM에 있어서는 SK하이닉스가 우위를 가져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전체 D램시장에서 HBM이 차지하는 비중이 1~2%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했었는데 글로벌 HBM 시장은 2022년 .. 2024. 1. 6. 메모리 반도체 가동률 상승과 수혜 기업 최근 반도체 업계에서는 가동률 상승에 대한 이야기가 점점 더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메모리 반도체 가동률 상승과 수혜 기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가동률 상승 AI 서버를 중심으로한 메가트렌드가 반도체 싸이클의 핵심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소재/부품 업체들은 지나친 감산으로 인해 실적이 크게 무너진 상황입니다. 현재 몇몇 메모리 업체들은 가동률이 상승하고 있는 등 "변곡점"이 나타나고 있어 관심을 가져볼만 합니다. "감산 -> 가격상승 -> 가동률 상승"이라는 싸이클에서 현재는 이미 반도체 가격 상승에서 가동률 상승으로 넘어가는 시기가 다가왔습니다. 특히 DRAM의 경우 삼성전자는 내년부터,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은 이미 소폭 회복에 들어간 상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 2023. 12. 22.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 반응형